728x90 반응형 우리말 공부20 띄어쓰기 규칙 쉽게 정리하기 띄어쓰기 규칙 쉽게 정리하기띄어쓰기는 우리말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중요한 요소예요. 하지만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띄어 쓰지 않으면 문장의 뜻이 달라질 수도 있어요. 오늘은 띄어쓰기 규칙을 쉽게 정리해 보려고 해요.1. 조사는 붙여 쓴다조사는 앞말과 항상 붙여 써야 해요. 조사란 체언(명사, 대명사 등) 뒤에 붙어 문법적 기능을 하는 단어를 말해요.✅ 예시나는 책을 읽는다.그 사람은 나와 친하다.오늘도 기분이 좋다.🚫 틀린 예나는 책 을 읽는다.그 사람은 나 와 친하다.📌 예외: 조사 같아 보여도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는 띄어 써야 해요.그 중(관형어+명사) → '그중'이라고 붙이면 조사처럼 보이지만, 명사로 쓰였으므로 띄어 써야 해요.2.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의존명사는 다른 말과 함께 쓰여야.. 2025. 3. 10. 우리 삶 속에서 빛나는 사자성어 우리 삶 속에서 빛나는 사자성어사자성어는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어 표현으로, 짧지만 깊은 뜻을 담고 있어요. 예로부터 지혜로운 말로 사용되며, 오늘날에도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때로는 교훈을 주고, 때로는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사자성어는 우리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예요. 오늘은 삶의 지혜가 담긴 사자성어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노력과 성장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해요. 노력과 성장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들은 우리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기도 해요.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 큰일도 해낼 수 있다는 의미예요. 어떤 목표든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고 있어요.마부.. 2025. 3. 10. 우리말 속 숨은 어원 이야기 (2) 우리말 속 숨은 어원 이야기(2)8. ‘무턱대고’의 유래‘무턱대고’는 이유 없이 마구 행동하는 것을 뜻해요. 이 표현은 ‘턱’과 관련이 있어요.과거에는 무언가를 결정할 때 논리적인 근거를 ‘턱’이라고 했어요. 하지만 아무런 이유 없이 행동하는 경우에는 ‘턱이 없다’고 했어요. 여기서 발전해 ‘무턱대고’라는 표현이 생긴 거예요. 본래 ‘턱(근거)이 없다’에서 유래한 표현이에요.9. ‘간 떨어질 뻔했다’의 유래너무 놀랐을 때 ‘간 떨어질 뻔했다’라는 표현을 사용해요. 이 말은 한의학과 관련이 있어요.한의학에서는 간이 몸의 기운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이라고 여겼어요. 그런데 너무 놀라면 간의 기운이 빠져나가거나 떨어진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큰 충격을 받았을 때 ‘간 떨어질 뻔했다’라고 표현하게 된 거예요... 2025. 3. 9. 우리말 속 숨은 어원 이야기 우리말 속 숨은 어원 이야기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우리말 속에는 흥미로운 유래와 역사가 담겨 있어요. 뜻을 알고 보면 더 재미있고, 언어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수 있어요. 오늘은 친숙한 우리말 속 숨은 어원을 함께 알아보려고 해요.1. ‘고생’의 원래 의미우리는 힘들고 어려운 일을 겪을 때 ‘고생했다’라는 말을 많이 사용해요. 하지만 ‘고생’이라는 단어의 원래 뜻은 지금과 다르게 긍정적인 의미였어요. ‘고생(苦生)’은 한자로 ‘쓴맛을 보며 살아간다’는 뜻이지만, 본래는 ‘노력하며 부지런히 산다’는 긍정적인 의미였어요. 과거에는 ‘고생한다’는 말이 ‘성실하게 살아간다’는 의미로 쓰였다고 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변하게 되었어요.2. ‘바람 맞다’의 유래누군가와.. 2025. 3. 9. 사투리 vs 표준어, 지역별 언어 차이 알아보기 사투리 vs 표준어, 지역별 언어 차이 알아보기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지역마다 특색 있는 사투리가 존재해요. 표준어와는 다른 억양과 단어를 사용하면서도 그 지역 사람들끼리는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어요. 오늘은 지역별 사투리와 표준어의 차이를 재미있게 알아보려고 해요.1. 경상도 사투리 vs 표준어경상도 사투리는 억양이 강하고 어미 변화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또한, 짧고 직설적인 표현이 많아요.밥 먹었나? → 밥 뭇나?괜찮아 → 상관없데이너무 좋아 → 지린다진짜야? → 맞나?하지 마 → 하모, 안 된다 경상도 사투리는 특히 억양이 강하고 문장을 짧게 표현하는 특징이 있어요. ‘하모’는 ‘그래’라는 뜻으로 자주 사용되며, ‘지린다’는 ‘엄청 좋다’라는 의미로 쓰여요.2. 전라도 사투리 vs 표준어.. 2025. 3. 9. 사라져 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사라져 가는 아름다운 우리말우리말에는 참으로 아름다운 단어들이 많아요.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점점 사용되지 않는 말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오늘은 사라져 가는 우리말 중에서도 특히 예쁜 뜻을 가진 단어들을 소개해 보려고 해요. 이 단어들을 알고 사용한다면 우리말의 멋을 더욱 깊이 느낄 수 있을 거예요.1. 다솜"다솜"은 '애틋한 사랑'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에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사랑"이라는 단어보다 더 따뜻하고 정감 있는 느낌을 주는 단어예요. 예를 들어, "그녀는 가족에게 다솜을 가득 담아 편지를 썼어요"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2. 온새미로"온새미로"는 '자연 그대로' 또는 '변함없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예요. 자연의 순수함을 지키며 살아가는 삶을 표현할 때 참 잘 어울리는 단어예요. "그는 언.. 2025. 3. 6.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